제 10회 빅데이터분석기사 실기(2025년 6월 21일)를 신청하여 합격한 후기를 알려드리고자 합니다.
※ 시험 준비 상황
학력 | 지거국 IT관련 학과 졸업 (빅데이터 관련 지식 거의 없음) |
상황 | 졸업 후 6월 상하이 여행 전 자격증 준비 기간 (상대적으로 여유로웠음) |
사용 도서 | 2025 이기적 빅데이터분석기사 실기 Python |
응시 시험 | 제 10회 빅데이터분석기사 실기(2025년 6월 21일) |
시험 준비 기간 | 5주 |
시험 정보
응시 자격 | 빅데이터분석기사 필기 합격자(필기합격 이후 2년 이내) |
합격 기준 | 60점 이상 |
총 문제 수 | 6문제(10문제) 1유형: 3문제(30점) 2유형: 1문제(40점) 3유형: 2문제(6문제)(한 문제 당 3개의 소문항)(30점) |
시험 시간 | 3시간(180분) (10:00 ~ 13:00) |
공부 방법
사용 도서 | |
개념 | 2025 이기적 빅데이터분석기사 실기 Python |
기출 | 2025 이기적 빅데이터분석기사 실기 Python |
실습 공부 환경 | 구글 코랩(자동 완성, AI 완성 끄고 실습 공부) 빅분기 실기 체험환경(빅분기실기 체험 환경 링크) |
추가 학습 | ChatGPT에게 기출 문제 주고 비슷한 문제 만들어 달라고 요구 |
필기 때, 이기적 필기 기본서를 구매하였기 때문에 그냥 실기도 이기적 빅분기 실기로 구매하였다.
이번엔 유튜브 영상도 딱히 보지 않고 책과 ChatGPT의 파이썬 문법 도움만 받았다.
구글 코랩에서 자동완성과 AI 자동완성 기능을 끄고 연습하면서 주로 쓰는 라이브러리와 함수는 다 외우려고 노력했다. 요즘 내 노트북이 오래되서 파이썬 자체를 실행시키기엔 무리가 있었고 코랩을 쓰면 원래 내가 쓰던 파이썬 개발환경을 안건들고 빅분기 공부를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서 이렇게 하는 것을 추천하고 싶다.
뒤에 있는 부록 기출을 3번 정도 풀고 이걸 일부로 데이터진흥원에서 제공하는 실기 체험 환경에서 직접 해보면서 실전 감각을 익혀보았다. 파이썬에 익숙하지 못한 분들이라면 실기 공부에 매우 오래 걸릴거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가장 걱정되는 것은 2유형의 40점짜리 모델 정확도 문제였다. 정확도를 통해 부분 점수를 준다는 이야기를 봤는데, RUN TIME은 1분밖에 되지 않아 가장 빠르면서 정확도를 높일 수 있는 전처리 방법과 모델은 뭘까 연습을 많이 했던 거 같다.
그리고 검정 방법이 생각보다 많아서 검정 함수를 외우는데도 시간을 꽤 썼다. 지피티에게 검정 방법을 분류별로 정리해달라고 한 다음에 검정을 사용한 활용 문제를 만들어 달라고 요청하면서 직접 기출 문제를 만들어 풀면서 외웠다. 빅분기가 오래된 시험이 아니어서 기출이 적었기에 다른 유형의 문제도 이런식으로 지피티에게 기출문제를 만들어 달라고 요청했다.
빅분기 실기 시험 당일
시험 일자 | 2025년 6월 21일(토) |
시험명 | 제 10회 빅데이터분석기사 실기 |
준비물 | 규정 신분증(민증, 운정면허증 등) (수험번호는 컴퓨터로 빅분기 사이트 들어가서 검색 가능) |
입실 시간 | 9:10 ~ 9:30 (너무 일찍 오면 건물 1층에서 대기/적당히 맞춰 오는 것을 추천) |
시험 시간 | 10:00 ~ 13:00 (3시간) |
시험 장소 | 대전 미래융합교육원 (대전 서구 컴퓨터학원) |
※ 주의사항
- 너무 이른 시간에 가면 시험장 1층에서 계속 대기하셔야합니다.
- 뚜껑이 없는 흘릴 수 있는 음료는 반입 금지
- 감독관이 말씀하시기 전까지 컴퓨터 키보드, 마우스, 모니터, 전원 버튼 다 건들면 안됩니다.
- 이상이 있으면 무조건 손들고 감독관님을 바로 부르셔야합니다.
- 시험 도중 이상 발생 시, 추가 시간 부여 ( ex) 중간에 컴퓨터 꺼짐, 인터넷 오류 등)
- 응시확인서가 그날 당일 필요하신분은 말씀하시면 바로 뽑아주십니다.
- 실기 사이트의 아이디가 수험번호이기 때문에 수험번호를 알기위해 빅분기 사이트에 들어가는 것은 봐주십니다.
실기 장소는 거의 다 컴퓨터 학원이어서 블로그 검색하다가 미래융합교육원이 괜찮았다는 평가를 보고 여기로 신청했다. 9시 이전에 도착했는데 1층에서 대기해야되었고 입실시간이 가까워지니 2층으로 올라갈 수 있게 해주셨다.
미래융합교육원에는 시험장이 2개였고 난 2번 시험장이었다. 내가 첫번째로 들어온 시험자였고 감독관께서 바로 신분증 검사를 하신다. 정해진 시간이 되면 전원을 키라고 하시는데 내거는 모니터가 작동되지 않아 감독관께서 모니터를 고쳐주셨고, 다른 분은 컴퓨터 자체는 되는데 실기시험 사이트가 작동이 안되서 옆자리로 시험 장소를 옮기셨다.
앞에 써져있는 사이트 링크를 들어가, 아이디(수험번호), 비밀번호를 치고 들어가면 실기 시험 안내 공지, 미리 사전 환경 체크를 할 수 있는 공간, 10시가 되면 열리는 시험 버튼이 있다. 보통 다들 10시 이전까지 공지를 읽거나 환경 사이트에서 손을 푸신다. 사전 환경 사이트는 그냥 빅분기 사이트에 있는 사전 환경 체험이랑 똑같다.
시험 도중 중간에 문제가 생겼는데, 중간에 컴퓨터가 스스로 재부팅을 했다. 나는 바로 감독관께 말씀 드렸고 감독관께서 바로 오셔서 다시 접속하게 도와주셨다. 다행히 날라간 것은 쓰다만 변수명 하나(거의 abc 3글자만 날아간 수준)였다. 사이트 위쪽을 보면 시간이 표시되어있는데 나는 5분이 추가로 들어왔다. 아마 중간에 문제가 생기면 문제의 정도에 따라 추가 시간이 주어지는 듯하다.
나 말고 시험 중간에 이상이 생기는 사람은 없었다. 대부분이 중간 퇴실하셨고 나도 1시가 되기 전에 중간 퇴실했다. 1유형에서 애매하게 한 문제를 몰랐고, 3유형에서 각 소문항 2문제를 몰랐다. 그래서 합격에 대한 자신은 없었다.
시험 결과
살짝 불안한 마음으로 상하이 여행을 갔다온 후, 사전 점수를 확인했다. 여기서 문제 오류 이의제기 말고는 거의 변화가 없기 때문에 거의 확정이라고 보면된다.
이번에 1유형 1번 문제가 다중 정답 처리된 모양인데, 이건 내가 바로 풀었던 나에게 쉬웠던 문제였다.
1유형에서 애매했던 문제가 다행히 정답이었고 2유형에서 valid data의 정확도가 약 0.73대였었는데 2유형이 40점을 받은 것을 보면 적절히 하이퍼 파라미터까지 다 하고 문제의 지시사항에만 다 따르면 정확도가 높지 않아도 괜찮은 듯하다.
3유형에서 15점 깎인 것을 보아 몰랐던 문제는 다 틀린 듯하다. 솔직히 잘못하면 합격 못하는 거 아닐까라는 최악의 경우의 수도 생각해본 적이 있는데, 85점을 보니 계획했던대로 진행되서 좋았다.
시험 후기
솔직히 어려운 난이도는 아니었던 것 같다.
작년 9회 시험 기출보다는 쉬운 느낌을 받았다.
3유형에서 내가 검정하는 것을 많이 외워갔는데 검정쪽이 하나도 안나오고 로지스틱 모델을 만들고 예측하는 것 등만 나와서 허를 좀 찔렸다. 갑자기 3유형에서의 모델 예측이 생각이 안나 당황을 했었는데 마이너스된 15점은 그 탓이다.
1유형에서 애매했던 문제도 내가 제대로 공부 안했던 tokenizer 느낌의 문제였다. 공백의 개수를 통해 단어의 개수를 파악하는 문제였는데, 이쪽 문법을 공부하지 않아서 help와 dir를 엄청 써가며 공백 찾기 함수를 찾아가 결국엔 그냥 for 문과 원래 알던 함수를 통한 비효율적인 방법으로 문제를 해결했다. 이런 방법으로도 정답이 나와서 다행이다.
아마 그래서 제대로 공부하셨던 분들은 거의 붙으셨을 거라고 예상된다. 내가 예상치 못한 부분에서 나와서 그렇지, 난이도 자체는 어렵지 않았고 2유형도 정확도 대비 좋은 점수를 줬다.
'취준생활 > 자격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빅데이터분석기사 필기] 제 10회 빅분기 필기 정보/독학/합격 후기 (5) | 2025.07.06 |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심화] 한능검1급 합격 후기/공부방법/준비물/시험후기 (1) | 2025.05.03 |
[SQLD] 2주 공부 합격/시험준비/공부방법/시험후기 /준비물 (0) | 2025.04.22 |